본문 바로가기
쏘파파의 이것저것

골든종신, 이름값은 ‘골드’지만 내용은 글쎄

by 쏘파파 2025. 10. 26.
반응형

왜 이렇게 인기가 많을까?

결혼 후, 아이가 생기면서 재무설계를 다시 점검하기 시작했다.
특히 종신보험은 내 가족을 위한 ‘최후의 안전망’이라 생각했다.
그런데 요즘 주변에서 가장 많이 듣는 이름이 있다. 바로 삼성생명 골든종신보험.
SNS, 블로그, 심지어 회사 단톡방에서도 “요즘 골든종신이 대세”라는 말이 돌았다.
“보장금액 다 써도 사망보험금 그대로” — 이 문구 하나로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기엔 충분했다.


하지만 설계서를 열어보면 현실은 다르다

나는 실제로 상담을 받아봤다.
20년납, 사망보험금 1억 기준으로 일반 종신보험은 월 22만 원 선.
하지만 골든종신은 월 43만 원이었다.
두 배 가까운 차이에 설계서를 자세히 읽어보니 이런 문장이 있었다.

“인출하지 않을 경우 사망보험금 2억 원.”
즉, 2억짜리 종신보험을 들고,
그중 절반을 미리 꺼내 쓸 수 있게 만든 구조였다.
결국 ‘1억을 써도 1억을 보장받는다’는 말은,
‘2억 중 1억을 써도 남은 1억을 보장한다’는 뜻이었다.


결국, 내 돈으로 만든 착시효과

보험료가 높은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.
보험사는 손해를 보지 않는다.
결국 내가 낸 금액으로 그 “보장 유지”를 감당하는 구조다.

즉, 공짜 종신보험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는다.
다만, 중간에 일부를 꺼내 쓸 수 있도록 만든 ‘유연형 보험’일 뿐이다.

그리고 그 중간인출금도 ‘무이자’가 아니다.
내가 낸 보험료 안에서 미리 당겨 쓰는 것이기 때문에,
사실상 이자는 내가 부담하는 셈이다.


그럼 누구에게 맞을까?

  • 자산을 묶어두는 걸 불안해하지 않는 사람
  • 일정 금액을 중간에 꺼내 쓸 계획이 있는 사람
  • 단기적인 유동성보다 장기적 보장을 우선하는 사람

이런 경우라면 고려할 수 있다.
하지만 ‘보장성 보험’의 본질 — 가족의 위험 대비 — 만을 원한다면
이 상품은 과도한 선택이다.


보험은 단순할수록 좋다

가족을 위해 보험을 드는 건 좋은 결정이다.
하지만 상품이 복잡할수록, 결국은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설계돼 있다.
보험에서 가장 위험한 단어는 “공짜”와 “혜택”이다.
그 단어들이 눈에 들어온다면,
반드시 숫자와 조건을 다시 확인하자.


오늘의 교훈

“공짜 종신보험은 없다.
보험료가 두 배라면 이유가 반드시 있다.
보장은 보장으로, 저축은 저축으로 나누자.”

728x90
반응형